[1. 직녀]

프로그램 명: koi4u_vega
제한시간: 1 초

문제)

음력 7월 7일 (201186) 직녀는 견우를 만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방방 뛰고 있었다.
하지만
! 진작 오작교를 놓아줄 까치와 까마귀가 지구에서 직녀성까지 무려 약 25광년이라는 거리를 와야 한다는 핑계를 대면서 2011913일에 직녀성에 도착하였다. (실제, 지구와 직녀성은 약 25광년만큼 떨어져있다)
직녀성의 위치는 현재
A(0)에 있으며 까마귀와 까치가 총 N마리가 와있는 상태이다. 편의상, 견우성과 직녀성 사이를 일차원 수직선으로 다루겠다.
직녀는 적어도 견우를
D일 후에는 보고 싶다며 까마귀와 까치를 타일렀다.
까마귀와 까치가 다음 규칙에 따라 움직이고
, 견우는 B(M) 위치에 있다고 하자.
N
MD, 그리고 K(규칙에 언급)가 주어졌을 때, 직녀는 앞으로 D일 전(D일이여도 됨)까지 견우를 볼 수 있는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
[까마귀와 까치가 움직이는 규칙]

1. N마리가 직선을 이루면 좌표상의 길이 N를 형성하게 된다. (새 한 마리를 거리 1로 봐도 무방하다)
2. 9
13일에는 이미 N마리가 견우 방향으로 길이 N이 형성되어 있다.
3. 모든 새는 견우 방향으로 한 칸씩 움직일 때마다
K시간이 소요된다.
4. 우주에서도
24시간이 1일이라고 가정하자.

예제에 대한 설명을 보면 이해가 더 쉬울 것이다.

입력 형식)

첫 줄에는 테스트케이스 개수 T가 주어진다. (1 ≤ T ≤ 100)
다음
T개의 줄에는 정수 N, M, K, D 가 차례대로 주어진다.
(1 ≤ N ≤ 1010 , | M | ≤ 1010, 1 ≤ K ≤ 24, 0 ≤ D ≤ 1010)

출력 형식)

T개의 케이스마다 한줄 씩 답을 출력한다.
이 때
, 각 줄의 처음에는 몇 번째 케이스인지 나타나는 Case 1: 과 같은 형식이 있어야 하며 만약 직녀가 D일안에(D일이여도 됨) 견우에게 갈 수 있다면 Yes, 가지 못한다면 No를 출력한다.

입력 예제)

5
1 6 13 2

3 6 12 3

5 3 23 4

1 9 20 4

5 100 19 45

출력 예제)

Case 1: No
Case 2: Yes
Case 3: Yes
Case 4: No
Case 5: No

설명)

N = 3, M = 6, K = 12, D = 3 일 때

위의 상황을 보면 1.5일 후에 견우와 직녀가 만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. 따라 두 번째 예제는 3일 만에 만날 수 있으므로 Yes이다.

주의)

문제에서 다루는 수가 매우 크다.
그러므로 32비트 정수형 int 대신 64비트 정수형인 __int64나 long long을 사용하도록 한다.

출처:koi4u 2011년 8 월 모의고사 1 번

[질/답] [제출 현황] [푼 후(0)]
[ 채 점 ] [홈으로]  [뒤 로]